Peer Review
동료평가란?
각 집단에서 집단 구성원간에 서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원격판독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판독의 평가를 의뢰하게 되고 피평가자에게 건설적인 비평 및 제안을 하여 판독의 정확성을 높입니다.
Peer Review 판정 기준
RADPEER Scoring System (Effective May 2016) | ||
---|---|---|
score | Meaning | Optional |
1 | Concur with interpretation | |
(판독에 동의함) | ||
2 |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/not ordinarily expected to be made (understandable miss) |
a) Unlikely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(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음) b) Likely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(임상적으로 중요함) |
판독에 다른 의견(불일치)을 보이나, 그 의견은 항상 예상되는 것은 아님. (이해할 수 있는 실수임) | ||
3 |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/should be made most of the time |
a) Unlikely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(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음) b) Likely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(임상적으로 중요함) |
판독에 다른 의견(불일치)을 보이며, 잘못 판독된 것임. |
Peer Review
강남영상의학과의원
에서는
- 판독의 신뢰도와 판독의 질을 높이기 위해 대학병원 부교수 이상으로 재직중인 각 분야별 영상의학과 전문의로 구성되어 운영하고 있습니다. 판독이 완료된 영상에 대하여 Peer Review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판독의와 공유함으로써 판독의 Quality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, 보다 정확하고 전문적인 판독소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피어리뷰는 2가지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당일 의뢰된 건을 기준으로 약 10%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각 분야별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피어리뷰 진행하는 방법과 임의로 건 수를 정하여 중앙판독위원회에서 분기별로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피어리뷰를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
Peer Review
이후 피드백
- Peer Review 판정기준표를 기준으로 Peer Review 진행하고 있습니다. 판정기준표를 기준으로 3a와 3b는 원판독의에 환류하여 의견을 협의하고, 원판독의와 검증 판독의 사이에 의견 조율이 안 될 경우에는 중앙판독위원회에게 심화판독을 의뢰하여 최종 결정합니다. 판독문 수정이 될 경우, 의료기관에 결과를 통보하고 있습니다. 대한의료영상진단협회 뉴스레터를 통해서 피어리뷰 진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피어리뷰 논문 대한영사의학회지 2022-2 게재
Peer Review 뉴스레터
